반응형

오늘도 책 한 권을 읽었다. 엘런 그린스펀의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라는 책인데, 읽다 보니 미국이란 나라가 참 신기하단 생각이 들었다.

미국 자본주의

미국은 역동성이 있을 때 쭉쭉 발전하고, 그 역동성이 줄어들면 발전도 멈추는 것 같다.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 같달까?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시너지를 내는 모습을 보면, 왜 미국을 '희망의 나라', '꿈의 나라'라고 부르는지 알 것 같았다.

책을 읽으면서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를 쭉 훑어봤는데, 정말 롤러코스터 같더라.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해서 독립, 산업혁명, 대공황, 세계대전, 그리고 지금의 정보화 시대까지.

특히 인상 깊었던 건 19세기 산업혁명 시기였다. 기술 혁신에 기업가 정신이 만나니까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더라. 철도가 깔리고, 서부를 개척하고... 그 역동성이 눈에 보이는 것 같았다.

근데 또 대공황 같은 위기도 있었지. 1929년에 주식시장이 붕괴되고 경제가 거의 파탄 났잖아. 그때 루즈벨트의 뉴딜 정책으로 어떻게든 버텨낸 게 대단해 보였다.

그러고 보면 미국은 위기가 올 때마다 새로운 방식으로 극복해 나가더라.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제조업으로 경제 부흥을 이뤘고, 최근에는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으로 또 한 번 도약했잖아.

근데 이제는 새로운 도전들이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 인구 고령화,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이런 것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궁금하다.

미국의 역사를 보면 결국 사람이 핵심인 것 같다.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도전하고, 실패해도 다시 일어나는 그 정신... 그게 바로 미국 자본주의의 원동력이 아닐까?

[목차]

추천의 글 | 창조적 파괴의 대서사시
머리글
시작하기에 좋은 시대|풍요의 땅|부유해지는 비결|창조적 파괴|역사의 묘한 측면|창조적 파괴의 부작용|정치인의 등장|잃어버린 역동성의 회복

1장 상업공화국: 1776~1860년
힘든 삶|놀라운 변화|성장의 문화|쉬지 않는 사람들

2장 두 개의 미국
해밀턴 대 제퍼슨|북부 대 남부|불공정한 싸움|자본주의로 묶인 하나의 국가

3장 자본주의의 승리: 1865~1914년
풀려난 프로메테우스|혁신의 시대|서부의 부상

4장 거인의 시대
‘현대 최고의 발견’|합병 욕구|주식회사의 진화

5장 자유방임주의에 맞선 저항
그로버가 바라본 세계|자본주의 대 자유방임주의|커지는 불만|정부에 대한 믿음|사라지는 개척지|
활동가 대통령|신세계 대 구세계

6장 미국의 본업은 사업
1920년대에 대한 이해|말 없는 마차|전자 하인의 행진|무선 시대|풍요로운 사회|
대중에게 개방되는 기업|헨리 포드 대 알프레드 슬론|미국은 평평하다|시대의 종말

7장 대공황
무엇이 대공황을 일으켰나?|위기 외면|역사의 창조|뉴딜에 대한 평가|정치에서 경제로|사업과 불황|
루스벨트의 전시 르네상스|자본주의의 무기고

8장 성장의 황금기: 1945~1970년
전쟁과 평화|체력에서 지력으로|관리 자본주의|생산성을 찾아서|기업 제국주의|필멸의 징조

9장 스태그플레이션
자만에 대한 벌|하락과 추락|도심과 교외|동트기 전이 가장 어둡다

10장 낙관의 시대
풀려난 기업|레이건 이후|창업 정신의 부활|금융 혁명|세계화|전자산업의 개척지|프랙킹 혁명|새로운 노동인구|“이런 시대에 살아서 우리는 참 운이 좋습니다.”

11장 대침체
금융 위기|위기의 뿌리|대정체

12장 쇠퇴하는 미국의 역동성
포트홀과 진전|절망사|정체에 대한 설명|트럼프의 등장

결론
창조적 파괴의 문제|창조적 파괴에서 집단적 번영으로|변화하는 미국의 사회구조|기술 대 복지|
미국의 성장 엔진 고치기|미국의 성장 잠재력 되살리기

부록 자료와 방법론
감사의 글
그래프와 표 출처
주석
반응형
반응형

이 책은 저자가 다섯명으로 대학교에서 교재로 쓸법한 책의 구성이다.

저자: 김진수,최종인,임충재,고혁진,이유종

책의 구성만 보면 지루한 교재처럼 느껴지지만, 컬러풀한 구성과 최근 스타트업들의 사례를 많이 나열하고 있어서 재미있게 술술 읽어 나갈 수 있었다.

비지니스모델캔버스는 예제와 함께 보여주고 있어, 한번쯤 따라해보기 쉽다.

린스타트업, MVP(Minimal Viable Product)의 개념과 어떻게 실무에 적용해야할지, 사업계획서와 마케팅은 어떻게 해야할지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창업을 위한 모든 내용을 최근 트렌드와 함께 모두 넣으려고 한 노력이 느껴진다.

목차

PART 01 4차 산업혁명과 기술창업의 시대

제1장 4차 산업혁명과 기술창업의 이해
 1.1 4차 산업형명의 이해
 1.2 기술창업의 기념 및 특성
 1.3 기술 창업과 진로
제2장 4차 산업형명 기술창업 트렌드
 2.1 ICB(IoT, Cloud Computing, Big Data, Mobile)기술 트렌드
 2.2 인공지능(AI)과 자동수송 기술 트렌드
 2.3 스마트 공장과 3D 프린팅 기술 트렌드
 2.4 생명공학 기술 트렌드

제3장 기술창업 성공요인과 기업가 정신
 3.1 기술창업의 주요 성공요인과 준비사항
 3.2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이해

PART 02 기술창업 준비하기

제4장 창업기회 발견과 창업아이디어 개발
 4.1 창업기회의 이해
 4.2 창업기회의 발견
 4.3 창업아이디어 개발 프로세스와 방법

제5장 창업 아이디어 실현가능성 검증
 5.1 창업 아이디어 실현가능성 검증이란?
 5.2 창업 아이디어 실현가능성 검증하기

제6장 아이디어 보호와 지식재산권
 6.1 4차 산업혁명과 지식재산권
 6.2 지식재산권 활용
 6.3 지식재산권의 종류
 6.4 특허 취득 절차
 6.5 틀허 창출 전략

제7장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7.1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7.2 린 스타트업의 이해

제8장 사업계획서 작성
 8.1 사업계획서, 쓰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8.2 사업계획서, 어떻게 작성해아 할까?

PART 03 기술창업 실행하기

제9장 창업팀과 팀워크
 9.1 창업팀이란?
 9.2 팀워크 향상

제10장 기술창업 마케팅
 10.1 기술창업 마케팅의 개요
 10.2 기술창업 마케팅 환경 분석
 10.3 기술창업 마케팅 전략 수립
 10.4 기술창업기업의 마케팅 방법

제11장 기술창업 재무관리와 자금조달
 11.1 기술창업 재무관리
 11.2 기술창업기업의 자금조달과 투자유치

PART 04 기술창업 기업 성장하기

제12장 기술창업기업의 성장과 출구전략
 12.1 기술창업 성장단계
 12.2 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성공요인
 12.3 창업기업의 출구전략

[부록]창업 실무절차
1 회사 설립과 사업자 등록
2 벤처기업 인증 및 연구소 설립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