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면 할수록 재미 있는 운동인데요, 실력이 비슷한 사람들과 주로 시합만 하다 보니까 엉성한 자세와 함께 실력이 안 늘어요.;;
- 출처 : 나재철, 서준우, 생각하는 스쿼시, 도서출판 미래창조, 2001년, p. 8.
- 출처 : http://myself44.com/cgi-bin/technote/main.cgi?board=report&number=38&view=2&howmanytext=
- 출처 : Philip Yarrow, 스쿼시,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2년, p. 19.
- 그림출처 : http://www.squashmall.co.kr/index1.phtml
- 그림출처 : http://www.bizcorea.com/squash1.htm
- 노란볼 : 탄력이 적어 볼의 바운드가 낮다(경기용).
- 하얀볼 : 노란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연습용).
- 빨간볼 : 하얀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초보자용).
- 파란볼 : 빨간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초보자용).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그림출처 : http://www.bmleports.co.kr/squash_sub2.html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그림출처 : http://www.squashmall.co.kr/index1.phtml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출처 : Philip Yarrow, 스쿼시,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2년, p. 9.
스쿼시 경기는 단식, 복식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경기는 단식으로 진행된다.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그림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게임 볼(Game ball) : 서버가 1점을 따내면 그 게임을 이길 때의 득점 상황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게임(Game) : 규칙에 따라 서비스로 시작해서 한 선수가 9점(또는 10점)을 득점했을 때 끝내는 매치의 부분이다.
닉(Nick) : 벽과 바닥이 만나는 지점으로, 튀겨져 나올 공의 방향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 지점을 맞고 나오는 공은 받아내기 어려움.
다운(down) : 서비스나 리턴한 볼이 전면 벽에 도달하기 전에 바닥에 맞거나 보드 또는 틴에 맞는 경우에 쓰이는 표현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랠리(Rally) : 경기가 진행중인 볼을 끝내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와 볼의 리턴 횟수이다.
렛(Let) : 판정이 확실하지 않은 랠리, 렛이 허용되면 스트로크는 주어지지 않고, 서버는 동일한 서비스 박스에서 서비스를 넣어야 한다.
리조나블 백스윙(REASONABLE BACKSWING) : 볼을 치기 위해 라켓을 앞으로 가져가려는 동작을 준비하기 위해 몸에서 라켓을 멀어지게 하는 선수에 의한 합당한 동작.
리조나블 플로워 (REASONABLE FOLLOW-THROUGH) : 선수가 볼을 맞추고 나서 라켓의 이동을 계속하고 있을 때 쓰인다.
메치 볼(Match ball) : 서버가 1점을 득점하면 그 매치를 이기는 상황의 득점 상황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메치(Match) : 워밍업으로 시작해서 마지막 랠리를 끝내고 코트를 떠나는 두 선수의 경기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
보드(Board) : Tin의 바로 아래 코트의 전 넓이를 덮고 있는 전면 벽 위에 가장 낮은 마킹.
서비스 라인(Service line) : 전면 벽에 그어진 선. 볼이 이 라인 또는 이 라인 아래로 서브되면 서비스는(Not good)이다.
서비스(Service) : 서버가 랠리를 시작하기 위해 볼을 던져 넣는 방법이다.
쇼트 라인(Short line) : 코트 바닥에 그어진 라인. 서비스의 마루 위로 첫 바운드가 이 라인 위나 이 라인 앞에 도달되면(Not good)이다.
스탑(Stop) :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킬 때 사용한다.
스트라이커(Striker) : 볼이 전면 벽에 맞고 되돌아온 후 볼을 칠 차례의 선수, 볼을 치고 있는 선수, 방금 볼을 친 선수이다(친 볼이 전면 벽에 가고 있을 때까지).
스트로크(Stroke) : 경기 과정이나 심판의 부여에 의해 랠리에서 이겨서 그 결과로 득점이나 서버의 변화를 가져오는 선수에 게 주어지는 이득이다.
스페시필드(Specified) : W.S.F(World Squash Federation)의 규격에 만족하는 볼, 라켓, 코트의 규격.
아웃 라인(Out line) : 코트의 위쪽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앞 벽, 옆 벽, 뒷벽을 연결하는 연속적인 라인.
어템프트(Attempt) : 경기를 하려는 시도는 스트라이커가 라켓을 백스윙 위치에서 앞으로 움직였다는 심판의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심판은 시도가 어떤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오피셜스(Officials) : 기록원 및 심판을 말한다.
코렉틀리(Correctly) : 볼이 한 번 이상 맞지 않고 라켓에 오랜 동안 접촉되지 않게 라켓(손에 쥐어진 채로)에 의해 맞혀진.
콤페션(Competition) : 선수권 토너먼트, 리그, 또는 다른 경쟁 시합.
쿼터 코트(Quarter court) : half-court line에 의해 2등분되는 short line과 뒷벽사이 코트의 1/2이 되는 부분.
터닝(Turning) : 코트 뒤쪽에서 들어오는 공을 받아내기 위한 처리 방식.
토너먼트 레퍼리(Tournament referee) : 선수권대회에 매치에 대한 진행자의 임명이나 대체를 포함하는 심판이나 기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모든 책임을 지는 사람.
틴(Tin) : 볼에 맞으면 독특한 소리를 내는 재질로 만들어야 하는 보드의 아래 부분.
포인트(Point) : 득점. 서버가 스트로크를 이기면 1점이 더한다.
하프 타임(Half time) : 워밍업의 허용시간 총 5분 중 2분30초의 경과를 알리는 심판의 콜이며, 이 용어가 불리어지면 선수들은 코트 사이드를 바꾸어 워밍업 한다.
핸드 아웃(Hand-out) : 서버가 바뀌는 상황에서 일어난다(기록원의 콜은 서버가 바뀌었음을 알리기 위해 쓰인다).
핸드(Hand) : 한 선수가 서버가 되어서 리시버가 되기까지의 시간.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도]옛날 검도에서는 (0) | 2011.09.09 |
---|---|
[대한검도]승단 심사 초보들에게 (2) | 2011.09.07 |
[대한검도]수련시 기억해야할 50가지 (0) | 2011.09.07 |
[대한검도]격자부위 (0) | 2011.09.07 |
[대한검도]호구 명칭 (0) | 2011.09.07 |
[대한검도]검도 기본 예법 (0) | 2011.09.07 |
[대한검도]도복 입는 방법 (0) | 2011.09.07 |
[스쿼시]기본스윙(Backhand, Forehand) (0) | 2011.05.15 |
[스쿼시]경기 규칙 (0) | 2011.05.15 |
[스쿼시]스탭 (4) | 2011.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