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6월 25일, 기획재정부에서 주식양도소득세에 대한 내용이 발표되었다. 이 세제 개편 내용은 다음 달 7일 공청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한뒤 7월말에 발표하는 '2020년 세법개정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무엇이 바뀌는가?
[현행]
증권 거래시에 거래세 + 이자,배당 소득세 부과 ![]() 코스피 주식 매입시 |
[변경]
증권 거래시에 거래세(단계적 축소) + 양도소득세 + 이자,배당 소득세 부과 - 현행 증권거래세율(0.25%)은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낮춰 2023년 0.15%까지 인하 - 2022년부터는 증권·파생상품 등 자본시장법에서 규정하는 ‘금융투자상품’에서 발생한 모든 이익은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돼 20~25%의 소득세를 내야 한다. 2023년부터 개인투자자의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이 2천만원을 넘으면 금융투자소득 과세 대상에 포함 - 과세 방법은 1년간 모든 상품의 이익과 손실을 합산해 ‘순수익’이 난 부분에만 세금을 거두는 ‘손익통산’ 방식이다. 한해 손실이 났다면 향후 이익을 냈을 때 과거 손실액만큼 공제를 받을 수 있게 3년간 이월공제도 적용한다. - 해외·비상장주식·채권·파생상품 소득은 하나로 묶어 250만원을 공제한다. 2023년부터 과세하는 개인투자자 국내 상장주식 양도소득은 2천만원을 기본공제한다. 정부는 공제금액을 2천만원으로 설정하면, 전체 주식투자자 약 600만명의 상위 5%인 30만명, 전체 주식 양도소득 금액의 85%가 과세 대상 - 금융투자소득 적용세율은 과세표준 3억원 이하는 20%, 3억원 초과분부터는 25%가 적용 - 2023년 이전에 산 주식의 과세 기준가는 2022년 말일 종가와 기존 매수가 중 높은 금액을 기준 - 손실난 부분은 3년간 유예하여 소급적용 취지 - 소득있는 곳에 세금 부과 - 채권, 증권과 파생상품등에 분산투자 장려 - 이익과 손실을 합산해줌으로써 손절매를 유도 양도소득세 제외 대상 - 법인: 법인세 납부 - 외국인: 본국에서 양도소득세 납부 2,000만원 공제 혜택 제외 대상 -펀드, ETF |
언제부터?
정부 개편안을 보면, 현재 ‘배당소득’에 포함되는 파생결합증권(주가연계증권·상장지수증권 등) 및 펀드 이익, ‘양도소득’으로 분류되는 대주주 주식 양도소득, 파생상품(주가지수선물·옵션 등) 소득, 비과세 대상인 개인투자자 주식 양도소득, 채권 양도소득, 파생결합증권 양도소득 등이 모두 ‘금융투자상품’으로 묶여 세금이 매겨진다. 2022년부터 시행인데, 개인투자자 주식 양도소득만 2023년부터 과세한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수수료 총정리 2020년 (0) | 2020.11.14 |
---|---|
뉴딜 ETF 보수, 과세, 종목 (0) | 2020.10.08 |
외화 정기예금 금리가 제로? (1) | 2020.09.28 |
증권사 주식거래 수수료 비교 (0) | 2020.09.17 |
TIGER 200 ETF를 매일 사면 수익률은? (0) | 2020.09.16 |
S&P 편입된 주식들의 주가 추이 비교 (0) | 2020.06.04 |
IRP(퇴직연금) VS 개인연금(연금저축펀드) 비교 (0) | 2019.04.18 |
ETF 수수료 총정리 (8) | 2019.04.01 |
문재인정부가 추진하려는 소득세 개정안? (0) | 2017.07.25 |
코스피지수가 2,500 이 넘어도 내 주식은 오르지 않는 이유 (1)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