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머니가 집 근처의 텃밭에서 고추나무를 키우신다.

재작년까지 고추의 병충해 때문에 실패를 거듭하다가 작년에 드디어 성공을 하셨다.

 

성공을 하신 내용을 꼭 세상에 알려, 고추 농사를 짓는 사람들을 이롭게 해야 한다 하시며 인터넷에 올려달라고 하신다.

고추 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은 참고 해 보시기 바랍니다.

 

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1. 살충제를 우선 구입을 해야 하는데, 직접적으로 뿌리지는 않으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사용했던 살충제는 "다이아톤 분제" 이다.

 

2. 고추나무 주변 둘래 10Cm 간격으로 다이아톤을 뿌려준다.

 

3. 한번 뿌려준 다음에 비가 오거나 하여 씻겨 내려가면 다시 둘레에 동일하게 뿌려주면 된다.

 

이때까지 실패의 원인은 고추나무에 올라가는 개미인 것 같다.

 

자세한 추가 정보를 알고 싶으신 분은 댓글로 질문 하세요.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에코폰]  (0) 2011.09.23
[설문 조사surveymonkey]  (0) 2011.08.31
[채권]부동산 가압류를 통한 회수방법  (0) 2011.05.19
[약속어음,수표]소구권과 소멸시효  (0) 2011.05.18
[담보, 근저당권]담보 설정시 유의사항  (0) 2011.05.17
경기도 평생학습 e-배움터  (0) 2011.05.03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  (0) 2011.05.02
KTX 기차 시간표  (0) 2011.05.01
KTX 운임 정보  (0) 2011.05.01
KTX 투게더  (0) 2011.04.30
반응형

사진과 동영상을 이용한 무비메이커의 간단 사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먼저 설치를 해야겠죠?

MS에서 무료로 제공을 하고 있으니, 받으시면 됩니다.

Essentials 패키지에 포함됩니다.

- http://explore.live.com/windows-live-essentials?os=other

 

네이버에서 "무비메이커"라고 쳐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를 하시고 실행을 시킵니다.

무비메이커는 다양한 동영상 편집 기능을 쉽게 제공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제가 찍은 광명 체육관 나들이를 한 사진과 동영상으로 간단하게 "동영상 마법사 테마"를 이용하여 동영상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아래와 같이 오른쪽에 사진이 있는 부분에 필요한 사진을 탐색기에서 선택 한 후, Drag해서 불러옵니다.

 

2.자막을 넣고 싶은 파일을 선택하고 아래에서 보이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자막을 넣습니다.

 

3. 배경음악을 선택합니다.

 

4. 간단하게 동영상 테마를 클릭하여 동영상 제작

 

5. 마지막으로 원하는 크기로 동영상을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메뉴->동영상저장

 

간단하죠? ^^

이렇게 해서 만든 제작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날씨가 너무 좋아서 광명체육관에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오늘 따라 유난히 행사가 많았는데, 댄스스포츠, 보디빌더, 비보이까지~ 다채로운 볼거리가 많았어요.

 

  • 출발!

날씨가 너무나 따뜻하고 꽃들도 만발.

 

  • 보디빌딩 대회

마침 Mr & Ms. 경기선발대회가 열리는 날이었다.

몸짱들을 봐주지 않을 수 없죠.

많은 이들이 감탄하는 가운데..

 

작년 챔피언들 등장. 저 몸 좀 봐; 챔피언 다워~

 

여성분들 등장

 

다섯 명의 여성부 보디빌더 중 2명이 모녀사이. --;

어버이날 기념. 어머니 감사합니다~

 

남성부에서는 나오기 힘든 멋진 포즈 나와주시고~

 

남성부 시작

챔피언의 몸보다는 못하지만, 부러운 몸매들의 소유자들 등장.

●여기서 잠깐 !!

처음 보는 보디빌딩 대회였는데,

방식은 선수 소개->자유포즈->규정 포즈->경기장 앞을 활용한 자유포즈 로 진행 됩니다.

규정포즈는 아래와 같습니다. 저도 덕분에 공부 했네요 ^^

1. front double biceps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앞 이두근 보여주기 )

2. front lat spread ( 프론트 랫 스프래드 - 앞 광배근 보여주기 )

3. side chest ( 사이드 체스트 - 옆 가슴 보여주기 )

4. back double biceps ( 백 더블 바이셉스 - 뒤돌아 이두근 보여주기 )

5. back lat spread ( 백 랫 스프래드 - 뒷 광배근 보여주기 )

6. triceps ( 트라이 셉스 - 삼두근 보여주기 )

7. abdominal & thighs ( 업도니얼 앤드 타이 - 복근 보여주기 )

 

 

  • 댄스 스포츠 대회

정말 이벤트가 많은 곳이네요. 옆에서는 댄스 스포츠 선수권 대회도 하고 있어;;

 

비보이의 멋진 공연까지~

 

처음 갔던 광명 체육관에는 즐길 거리가 참 많았어요.

주말에 자주자주 애용해야겠습니다. ^^

반응형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 수원 화성 국제연극제, 불꽃의 바다(스페인)  (0) 2013.05.26
[광교산 나들이]  (0) 2013.05.18
[남포동 나들이]  (0) 2012.06.02
[수원, 하나로클럽]  (0) 2012.04.14
[광명 가림산]  (0) 2011.10.23
[철망산 근린공원]  (0) 2011.10.16
[자인사]  (0) 2011.10.03
[산정호수]  (0) 2011.10.03
[허브아일랜드]  (0) 2011.10.03
[영종도, 조개구이, 을왕리 해수욕장]  (0) 2011.09.03
반응형

스쿼시 시작한지 어언 4개월이네요.

하면 할수록 재미 있는 운동인데요, 실력이 비슷한 사람들과 주로 시합만 하다 보니까 엉성한 자세와 함께 실력이 안 늘어요.;;

그래서 스쿼시 이론부터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스쿼시(squash)는 구석에 밀어 넣다라는 뜻으로 사방이 벽으로 둘러쌓인 코트에서 라켓으로 벽에 볼을 튀기고 이를 다시 받아 쳐내는 경기이다. 짧은 시간 내에 커다란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도시형 스포츠로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적합한 운동이다. 스쿼시는 신체적 장기라고 부를 정도로 뛰어난 두뇌플레이와 심리적인 안정감이 필요하고 더불어 강한 체력, 빠른 스피드와 여러 가지 기술이 요구되는 스포츠이다.

 

- 출처 : 나재철, 서준우, 생각하는 스쿼시, 도서출판 미래창조, 2001년, p. 8.

 

2. 역사

본래 스쿼시의 목적은 즐기기 위한 것이었지만, 영국 런던 근교의 한 감옥에서 죄수들이 수형 생활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야자열매로 교도소 벽을 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오늘날과 같은 스포츠의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1830년경에 영국의 해로우 고등학교(Harrow School)에서 지금과 비슷한 라켓을 고안해 내면서부터 이다. 1차 세계 대전 후부터 본격적인 스포츠로 각광받기 시작하였고 프로화, 국제화되고 리그전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1923년 경기규칙이 확립되면서부터 세계적인 경기로 자리 잡았다. 1929년에 스쿼시 경기 연합(The Squash Rackets Association)이 결성되었는데 이곳에서 영국과 스쿼시 경기를 하는 모든 나라들의 경기를 모두 관할하게 되었다.

 

- 출처 : http://myself44.com/cgi-bin/technote/main.cgi?board=report&number=38&view=2&howmanytext=

 

3. 장비 및 복장

1) 복장

스쿼시 역시 라켓볼이나 테니스처럼, 주로 사설 남성 전용 클럽에서 유행했을 당시에는 복장에 대한 규율이 엄격하여, 깃 있는 상의로 흰색만이 허용되었다. 최근에는 급격한 대중화로 활동인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많은 규칙들이 관대해졌다. 국제 경기에서조차 복장이 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 색깔 있는 의상을 착용해도 무방하다(짧은 반바지나 탱크탑은 제외). 몇몇 경기에서는 여전히 깃 있는 상의 착용을 요구하지만, 일반적으로 티셔츠 역시 착용할 수 없다.

- 출처 : Philip Yarrow, 스쿼시,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2년, p. 19.

- 그림출처 : http://www.squashmall.co.kr/index1.phtml

2) 라켓

라켓은 배드민턴 라켓과 비슷하며 최대 허용길이는 68.6cm이다. 중량의 경우 255g 이하의 라켓을 사용해야하며 그 중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라켓은 150g~180g정도이다. 라켓의 재질은 과거 목재로 되어 있었으나, 라켓회사의 많은 실험과 연구과정을 통해 강하고 가벼운 라켓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립은 가죽, 고무, 타월 등으로 된 것을 쓰는데 땀을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타월 그립이 많이 사용된다. 어쨌든 라켓을 손에 쥐었을 때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하는 그립의 선택이 가장 중요한데 그렇지 못할 경우 그립이 자꾸 손에서 미끄러져서 예측불허의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 그림출처 : http://www.bizcorea.com/squash1.htm

3) 볼

재질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고무재로서 크기는 직경 3.95cm에서 4.15cm까지로 정해져 있고, 무게는 23.3g~24.6g사이로 되어 있다. 볼의 탄력 정도는 볼의 표면에 점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노란색, 흰색, 빨간색, 파란색 순으로 탄력이 높다. 스쿼시를 즐기려면 공을 치고받는 것에 재미를 느껴야 되는데 이런 의미에서 색깔은 그 공의 스피드를 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은 실내의 온도에 따라 스피드에 변화가 생기는데 더워질수록 그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각자의 기준에 맞는 공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처음 스쿼시를 시작하려는 초보자들은 치고받는 즐거움을 위해 푸른색 공이 알맞고 어느 정도 수준에 오른 선수들에겐 이 푸른색 공이 적당치 않을 것이다.

- 노란볼 : 탄력이 적어 볼의 바운드가 낮다(경기용).

- 하얀볼 : 노란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연습용).

- 빨간볼 : 하얀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초보자용).

- 파란볼 : 빨간색 볼 보다 바운드가 높다(초보자용).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그림출처 : http://www.bmleports.co.kr/squash_sub2.html

4) 보안경

보안경은 눈과 머리부근의 보호를 위해 반드시 착용할 것을 권유한다. 만 18세 미만인자는 공식대회에서 반드시 의무적으로 착용해야하며, 18세 이상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착용할 수 있다.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 그림출처 : http://www.squashmall.co.kr/index1.phtml

5) 운동화

움직임이 편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발목을 조이면서 받쳐주는 뒷부분과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바닥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뒷굽이 높을 경우 발목 부상의 위험이 있음을 유의하자. 운동화는 안전과 경기력 발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하도록 하며, 바닥에 자국을 남기지 않는 운동화(신발 바닥이 짙은 색은 안됨)를 신어야 한다. 요즘은 스쿼시화를 많이 착용한다.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4. 효과

스쿼시는 속도감, 지구력, 민첩성, 신체 조절능력, 코트 활용능력을 기를 수 있으면서도 평균 경기시간은 40분에 불과하다. 최고 인기의 비결은 짧은 시간 내에 강도 높은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122개국에 걸쳐 1500만의 인구가 현재 스쿼시를 즐기고 있으며 그 숫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명심해야할 점은 작은 공을 정면 벽(Front Wall)에 때려 상대가 맞출 수 없는 곳으로 보내는 것이다. 점차 능숙해지면서 더욱 뛰어난 실력의 선수에게 도전하도록 한다. 경기 중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경기를 마친 후에는 만족감과 흥분 감에 쌓일 것이다. 물론 약간의 피곤함도 피할 수 없다.

 

- 출처 : Philip Yarrow, 스쿼시, 도서출판 대한미디어, 2002년, p. 9.

 

5. 경기방식

스쿼시 경기는 단식, 복식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경기는 단식으로 진행된다.

1) 단식경기

단식경기의 경우는 2명의 선수가 약 20평의 사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코트에서 천정을 제외한 벽과 바닥 다섯 면을 이용하여 경기를 하게 된다. 3세트 2선승제나 5세트 3선승제로 이루어진다. 한 세트는 9점 혹은 15점을 먼저 획득하는 쪽이 승리하게 된다.

 

⑴ 9점 경기

9점 경기는 서브권자가 랠리를 이겼을 때 포인트를 얻게 되며, 서비스 박스를 바꿔 서브하게 된다. 이러한 득점 방식은 아마추어대회, 선수권대회 등에 주로 적용되며 프로경기에서는 여자프로경기(WISPA)에 적용되고 있다. 8대8 상황에서는 서브를 받는 선수가 경기를 9점까지로 할 것인지(no set), 10점까지로 할 것인지(set two)를 결정 할 수 있다.

⑵ 15점 경기

15점 경기는 서브를 하는 선수나 받는 선수 모두 랠리에서 이기면 포인트를 얻게 되는 포인트어랠리(point a rally) 스코어링 방식으로 진행된다. 랠리에서 지게 되면 실점과 함께 서브권도 상대에게 넘어간다. 경기 중 점수가 14 대 14에서는 서브를 받을 사람이 15점까지 할 것인지 17점까지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2) 복식경기

복식경기에서는 단식경기와는 달리 포인트어랠리(point a rally) 방식으로만 진행되며 3세트 2선승제나 5세트 3선승제로 진행된다. 매 세트마다 한 명에게 서비스가 주어지지만, 그 다음부터는 선수각자에게 서비스가 주어지며 팀별로 2명이 시도하게 된다(서브 기회는 두 번이다). 서비스박스는 점수가 가산될 때마다 이동하여 교대로 사용되며, 동료가 랠리를 잃을 경우 반대편 서비스 박스에서 서브한다. 서비스 이후 랠리는 테니스경기처럼 누가 스트로크해도 상관없으며, 상대 선수들과 계속적으로 번갈아가며 어떤 방법으로든 단식경기처럼 전면벽을 맞추면 된다.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6. 경기장

가로 6.40m, 세로 9.75m, 전면의 서비스라인 높이 1.83m, 후면의 라인 높이 2.13m, 바닥에서 전면의 보드 상단 높이 0.48m, 벽면은 흰색 또는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 각 라인은 붉은 색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폭은 5Cm를 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최근의 경향은 관객이 보기 좋도록 백 월(back wall)을 유리로 투명하게 하고 있다.

(※복식코트는 쇼트라인 7.62m 나머진 동일)

 

- 그림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7. 용어 설명

게임 볼(Game ball) : 서버가 1점을 따내면 그 게임을 이길 때의 득점 상황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게임(Game) : 규칙에 따라 서비스로 시작해서 한 선수가 9점(또는 10점)을 득점했을 때 끝내는 매치의 부분이다.

낫 업(Not up) : 볼이 규칙에 맞게 쳐지지 않았음을 알리는 표현, 다음의 경우 적용한다(기록원이 콜 한다). ①서버나 스트라이커가 볼을 제대로 치지 않았다. ②스트라이커가 볼을 치기 전에 볼이 한 번 이상 바운드가 되었다. ③볼이 스트라이커에 직접 닿았다(라켓을 제외한 스트라이커가 입은 옷, 기타 장비 포함). ④스트라이커가 볼을 치려는 시도를 한 번 또는 그 이상을 했으나 실패하였다.

닉(Nick) : 벽과 바닥이 만나는 지점으로, 튀겨져 나올 공의 방향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 지점을 맞고 나오는 공은 받아내기 어려움.

다운(down) : 서비스나 리턴한 볼이 전면 벽에 도달하기 전에 바닥에 맞거나 보드 또는 틴에 맞는 경우에 쓰이는 표현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랠리(Rally) : 경기가 진행중인 볼을 끝내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와 볼의 리턴 횟수이다.

렛(Let) : 판정이 확실하지 않은 랠리, 렛이 허용되면 스트로크는 주어지지 않고, 서버는 동일한 서비스 박스에서 서비스를 넣어야 한다.

리조나블 백스윙(REASONABLE BACKSWING) : 볼을 치기 위해 라켓을 앞으로 가져가려는 동작을 준비하기 위해 몸에서 라켓을 멀어지게 하는 선수에 의한 합당한 동작.

리조나블 플로워 (REASONABLE FOLLOW-THROUGH) : 선수가 볼을 맞추고 나서 라켓의 이동을 계속하고 있을 때 쓰인다.

메치 볼(Match ball) : 서버가 1점을 득점하면 그 매치를 이기는 상황의 득점 상황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메치(Match) : 워밍업으로 시작해서 마지막 랠리를 끝내고 코트를 떠나는 두 선수의 경기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준다.

보드(Board) : Tin의 바로 아래 코트의 전 넓이를 덮고 있는 전면 벽 위에 가장 낮은 마킹.

서비스 라인(Service line) : 전면 벽에 그어진 선. 볼이 이 라인 또는 이 라인 아래로 서브되면 서비스는(Not good)이다.

서비스(Service) : 서버가 랠리를 시작하기 위해 볼을 던져 넣는 방법이다.

쇼트 라인(Short line) : 코트 바닥에 그어진 라인. 서비스의 마루 위로 첫 바운드가 이 라인 위나 이 라인 앞에 도달되면(Not good)이다.

스탑(Stop) : 심판이 경기를 중단시킬 때 사용한다.

스트라이커(Striker) : 볼이 전면 벽에 맞고 되돌아온 후 볼을 칠 차례의 선수, 볼을 치고 있는 선수, 방금 볼을 친 선수이다(친 볼이 전면 벽에 가고 있을 때까지).

스트로크(Stroke) : 경기 과정이나 심판의 부여에 의해 랠리에서 이겨서 그 결과로 득점이나 서버의 변화를 가져오는 선수에 게 주어지는 이득이다.

스페시필드(Specified) : W.S.F(World Squash Federation)의 규격에 만족하는 볼, 라켓, 코트의 규격.

아웃 라인(Out line) : 코트의 위쪽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앞 벽, 옆 벽, 뒷벽을 연결하는 연속적인 라인.

아웃(Out) : 아래 세 가지 경우에 쓰이는 용어이다. ①볼이 out line이나 그 위 또는 천정에 맞은 경우이다(벽이나 천정의 부착물에 맞은 경우 포함). ②볼이 out line 위 또는 천정의 부착물을 통과한 경우이다. ③코트가 완전히 막히지 않은 곳에서 아웃라인이 있는 코트에서는 out line을 지나서 볼이 어떤 벽에도 맞지 않고 코트 밖으로 나가버리거나 out line이 없으나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이다(기록원이 콜 한다).

어템프트(Attempt) : 경기를 하려는 시도는 스트라이커가 라켓을 백스윙 위치에서 앞으로 움직였다는 심판의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심판은 시도가 어떤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어필(Appeal) : 어필은 코트 안팎의 상황을 고려해 볼 것을 심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어필>은 크게 두 부류로 규칙 전 반에 걸쳐 사용된다. 1. 선수가 심판에게 기록원의 결정에 대해 바꾸는 것을 고려해볼 것을 요구할 때이다. 2. 선수가 심판에게 let의 허용을 요구하거나 스트로크의 부여를 요구할 때, 선수에 의한 어필의 올바른 형태는 <appeal please> 또는 <let please>이며 선수가 어필하면 경기는 중단된다.

오피셜스(Officials) : 기록원 및 심판을 말한다.

코렉틀리(Correctly) : 볼이 한 번 이상 맞지 않고 라켓에 오랜 동안 접촉되지 않게 라켓(손에 쥐어진 채로)에 의해 맞혀진.

콤페션(Competition) : 선수권 토너먼트, 리그, 또는 다른 경쟁 시합.

쿼터 코트(Quarter court) : half-court line에 의해 2등분되는 short line과 뒷벽사이 코트의 1/2이 되는 부분.

타임(Time) : 심판이 경기를 시작시킬 때이다.

터닝(Turning) : 코트 뒤쪽에서 들어오는 공을 받아내기 위한 처리 방식.

토너먼트 레퍼리(Tournament referee) : 선수권대회에 매치에 대한 진행자의 임명이나 대체를 포함하는 심판이나 기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모든 책임을 지는 사람.

틴(Tin) : 볼에 맞으면 독특한 소리를 내는 재질로 만들어야 하는 보드의 아래 부분.

포인트(Point) : 득점. 서버가 스트로크를 이기면 1점이 더한다.

하프 커트 라인(Half-court line) : 벽면에 수평으로 마루 위에 그어진 short line과 뒷벽 사이의 코트를 두 개의 같은 부분으로 나누는 라 인. short line과 더불어 <T> 형태를 만든다.

하프 타임(Half time) : 워밍업의 허용시간 총 5분 중 2분30초의 경과를 알리는 심판의 콜이며, 이 용어가 불리어지면 선수들은 코트 사이드를 바꾸어 워밍업 한다.

핸드 아웃(Hand-out) : 서버가 바뀌는 상황에서 일어난다(기록원의 콜은 서버가 바뀌었음을 알리기 위해 쓰인다).

핸드 인(Hand In) : 서브하는 선수를 말한다.

핸드(Hand) : 한 선수가 서버가 되어서 리시버가 되기까지의 시간.

 

- 출처 : http://www.squashkorea.co.kr/

 

반응형
반응형

알찬 무료 인터넷 강의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특징

- 경기도에서 제공

- 전국민 무료 이용

- 다양한 주제

- 여러 강좌 동시 수강 가능

- 무료 학습 진단

 

홈페이지 주소

http://www.homelearn.go.kr

 

강의 카테고리

카테고리와 인기 과정은 아래와 같은데요,

영어, 제빵, 부동산, 경영, 재테크 할 것 없이 정말 알찹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에코폰]  (0) 2011.09.23
[설문 조사surveymonkey]  (0) 2011.08.31
[채권]부동산 가압류를 통한 회수방법  (0) 2011.05.19
[약속어음,수표]소구권과 소멸시효  (0) 2011.05.18
[담보, 근저당권]담보 설정시 유의사항  (0) 2011.05.17
[텃밭]고추나무 잘 키우는 법  (6) 2011.05.14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  (0) 2011.05.02
KTX 기차 시간표  (0) 2011.05.01
KTX 운임 정보  (0) 2011.05.01
KTX 투게더  (0) 2011.04.30
반응형

아파트를 매매를 할 때 부동산 중계소만 바라보면, 중계인의 농간에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토해양부 홈페이지에서는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아파트 전세, 월세 실거래가 까지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가격을 보시고 관심 부동산의 매물 가격과 실거래가를 꼼꼼히 비교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토해양부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

http://rt.moct.go.kr/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에코폰]  (0) 2011.09.23
[설문 조사surveymonkey]  (0) 2011.08.31
[채권]부동산 가압류를 통한 회수방법  (0) 2011.05.19
[약속어음,수표]소구권과 소멸시효  (0) 2011.05.18
[담보, 근저당권]담보 설정시 유의사항  (0) 2011.05.17
[텃밭]고추나무 잘 키우는 법  (6) 2011.05.14
경기도 평생학습 e-배움터  (0) 2011.05.03
KTX 기차 시간표  (0) 2011.05.01
KTX 운임 정보  (0) 2011.05.01
KTX 투게더  (0) 2011.04.30
반응형

안양 유원지에 나들이를 갔는데요, 오리요리 전문점 "금수강산"을 소개 합니다.

 

  • 인공 폭포 : 물이 흐르고 있어야 하는데, 오늘은 운영을 안 하나 봐요.

 

  • 안양천을 따라 올라 가는 길 : 벗꽃이 많이 지고 있지만 아직 나들이 할 만하네요.

 

  • 오리전문점 금수강산과 금수강산 전용 족구장

 

  • 도토리묵 : 신선하고 맛있었습니다.

 

  • 오리요리 : 오리 전문점이라 오리가 제일 맛있긴 합니다.

 

전체 평 : 음식은 대부분 맛있고 깔끔하여 만족 하였으나, 직원들이 약간 불친절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반응형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산 한방 찻집 오가다]  (0) 2011.09.18
[구로디지털단지역 삼통치킨]  (0) 2011.09.18
[가산동, 홍가]  (0) 2011.09.08
[가산 디지털 단지, 보드람]  (0) 2011.09.03
[역곡 만득이네]  (0) 2011.09.03
[광명사거리 대왕곱창구이]  (0) 2011.08.28
[철산 펍앤펍스]  (0) 2011.08.28
아줌마 냉면 보쌈  (0) 2011.04.25
나주곰탕  (2) 2011.04.25
대륭6차 투썸플레이스  (2) 2011.04.25
반응형

 

2011.05.01 기준

 

▶경부선 하행 [행신,서울,광명,천안아산,오송,대전,김천(구미),동대구,신경주,울산,부산]

 

▶경부선 상행 [행신,서울,광명,천안아산,오송,대전,김천(구미),동대구,신경주,울산,부산]

 

▶경전선 하행[서울,광명,천안아산,오송,대전,김천(구미),동대구,밀양,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

 

▶경전선 상행[서울,광명,천안아산,오송,대전,김천(구미),동대구,밀양,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

 

▶호남선 하행 [행신,용산,광명,천안아산,오송,서대전,계릉,논산,익산,김제,정읍,장성,광주,광주송정,나주,목포]

 

▶호남선 상행 [행신,용산,광명,천안아산,오송,서대전,계릉,논산,익산,김제,정읍,장성,광주,광주송정,나주,목포]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에코폰]  (0) 2011.09.23
[설문 조사surveymonkey]  (0) 2011.08.31
[채권]부동산 가압류를 통한 회수방법  (0) 2011.05.19
[약속어음,수표]소구권과 소멸시효  (0) 2011.05.18
[담보, 근저당권]담보 설정시 유의사항  (0) 2011.05.17
[텃밭]고추나무 잘 키우는 법  (6) 2011.05.14
경기도 평생학습 e-배움터  (0) 2011.05.03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  (0) 2011.05.02
KTX 운임 정보  (0) 2011.05.01
KTX 투게더  (0) 2011.04.30
반응형

 

KTX 요금정보 공유 합니다.

● 2011-05-01 기준 KTX 운임 정보

(1)-1 KTX : 서울∼부산간 전 구간 고속신선(금~일, 공휴일)

 

(1)-2 KTX : 서울∼부산간 전 구간 고속신선(월~목요일 할인운임)

 

(2)-1 KTX : 경부기존선 구포경유 서울 ∼ 부산간(금~일, 공휴일)

 

(2)-2 KTX : 경부기존선 구포경유 서울 ∼ 부산간(월~목요일 할인운임)

 

(3)-1 KTX : 경부기존선 수원경유 서울∼부산(금~일, 공휴일)

 

(3)-2 KTX : 경부기존선 수원경유 서울∼부산(월~목요일 할인운임)

 

(4)-1 KTX : 경전선 서울∼마산(금~일요일, 공휴일)

 

(4)-2 KTX : 경전선 서울∼마산(월~목요일)

 

(5)-1 KTX : 용산∼목포·광주간(금~일, 공휴일)

 

(5)-2 KTX : 용산∼목포·광주간(월~목요일 할인운임)

반응형
반응형

재테크를 위해 펀드를 많이 가입하는데요.

너무 많은 펀드들 중에 어떤 펀드를 가입해야 할지 고민 많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고민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 합니다.

 

●펀드 닥터 : http://www.funddoctor.co.kr/

 

▶펀드 닥터는 Fund의 정보 뿐만 아니라 ELS, 부동산 및 금리 등 재테크에 필요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펀드를 고를 때 약간의 도움이 되는 팁을 드리겠습니다.

우선은 너무 많은 펀드가 있기 때문에 투자를 원하는 기간의 수익률이 높은 기준으로 검색을 합니다.

 

▶펀드명을 선택하면 구체적인 펀드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펀드 자산액, 판매 수수료, 신탁보수율, 환매 수수료를 확인합니다.

 

▶어디에 투자를 하는지 포트폴리오와 주요 투자 종목을 확인합니다.

 

▶성과 분석 탭을 클릭하면 기간성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펀드의 1주일 기간성과를 보면 10.69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숫자가 많고 많은 펀드들의 순위를 나타내는데요, 1이라면 1등을 의미하겠죠.

여기 이 펀드는 1주일, 1개월, 3개월에서 괜찮은 수익률을 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성과를 보고 전체적으로 기간성과가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펀드를 고를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이는 꾸준히 장학금을 받는 상위의 학생이 나중에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이 많기 때문입니다.

펀드를 선택하는 하나의 기준일 뿐 진리는 아니지만, 펀드닥터는 좋은 펀드를 고르기 위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다음은 펀드뒤에 붙는 클래스별 설명입니다..

클래스                             내   용

   A         가입 시 선취판매 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클래스

   B         일정 기간 내 환매시 후취판매수수료가 부과되는 펀드 클래스

   C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가 없는 대신 연간 보수가 높은 펀드 클래스

   D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가 모두 부과 되는 펀드

E(Ae,Ce)     인터넷 전용 펀드 클래스

   F         금융 기관 등 전문투자자  펀드 클래스

   H         장기주택마련저축 펀드 클래스

   I         법인 또는 거액개인고객 전용 펀드 클래스

   W         Wrap 전용 펀드 클래스



반응형
반응형

구글의 광고를 게재하기 위해서는 Google Sense에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블로그의 운영자들은 아주 작은 수입이라도 제공해 줄 수 있는 배너 광고를 설치하고 싶어 할 것입니다.

대표적인 광고인 구글의 adsense에 가입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 수익금을 받기 위해서는 가입할 때 영어로 정보를 재대로 입력을 해야 합니다.

 

0. Adsense에 가입하기 전에 gmail계정을 만들어야 합니다.

Gmail 가입은 간단하기 때문에 여기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1. 애드센스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google.com/adsense

 

2. 웹사이트 정보를 아래를 참고하여 입력합니다.

 

3. 네이버에서 영문주소를 알아냅니다.

 

4. 알아낸 영문 주소를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5. 전화번호는 국가번호 82를 포함하고 번호의 제일 앞의 0은 빼고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입력이 끝나면 "정보 제출"을 클립합니다.

 

6. 정보 제출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요약 정보가 나옵니다.

 

7. 이제 제출을 하시면 됩니다.

만약 google계정에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선택하고 "Google 계정에 로그인하여 제출을 하시면됩니다.

 

 

8.약 2~3일 후에 아래와 같이 가입이 되었다는 메일을 수신하면,

Google AdSense에 가입이 완료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tistory.com)에서 사이드바에 구글 애드센스를 추가 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구글 Adsense 에서 적당한 크기의 광고를 만들어서 광고 코드를 복사합니다.

 

2. 플러그인에서 HTML 배너출력을 추가하고, 사이드바 설정에서 HTML 배너출력을 선택합니다.

내블로그->관리자->스킨->사이드바 설정

 

3. "편집"을 누르명 설정 창이 나오는데, 적당한 이름을 적고 HTML 소스란에 아까 복사한 광고코드를 붙여넣습니다.

 

4. 미리보기를 하여 확인하고 저장을 누르시면 adsense 배너가 추가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011. 9/27 에 KTX투게더에 아래와 같이 공지 되었습니다.
서비스가 잠정 중단이라고 하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부산이 집이라서 서울에서 부산에 갈 기회가 종종 있는데, 교통비가 너무 비쌉니다.

비싼 교통비 때문에 고민이었는데, KTX Together라는 사이트를 발견 했어요.

KTX투게더 사이트는 KTX 동반석을 예매 할 수 있는 사이트인데요,

동반석을 예약하는 카페나 사이트가 여러 개 있지만,

조건이 맞는 동반석을 찾아 헤매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사기를 당할지 모르는 두려움도 가지게 됩니다.

 

KTX투게더는 예약 가능한 시간을 편하게 고를 수 있고,

KTX투게더에서 중계를 해주기 때문에 사기를 당할 염려도 없습니다.

 

KTX투개더의 수수료로 인해 가격을 비교해보면 일반석과 개인이 예매하는 동반석의 중간쯤 됩니다.

출발역

도착역

일반석

동반석

동반석 1인요금

KTX투게더

서울

부산

55,500

138,800

34,700

44,000

 

 

사용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회원 가입을 해야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http://www.ktxtogether.com

2. 구간을 선택까지 하면 예약 가능한 인원이 나옵니다. 필요한 수량을 선택합니다.

 

 

3. 예약목록에서 금액을 확인하고 입금을 하면 아래와 같이 좌석정보가 나옵니다.

 

동반석에 4인이 안될 경우에는, 일반 좌석으로 추가요금 없이 좌석을 다시 배정 해줍니다.

취소의 경우, 예약 7일전에는 수수료가 없지만, 7일전~2일전에는 3,000원, 24시간 전에는 5,000원의 수수료가 있다는 점 유의 하세요.
 

안심하고 편하게 일반 요금 보다 싸게 이용할 수 있어서 좋지만,

가격을 중요하게 하는 사람은 발품을 팔아서 조건이 맞는 사람을 찾아서 동반석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귀찮은건 질색이라 저에게는 너무나 고마운 사이트네요 ^^



반응형
반응형

 

아침 경제 방송인 "박경철의 경제 포커스"에서 언젠가 이 책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한번 사서 봐야겠다는 생각을 한 후 몇 달 만에 이 책을 사서 읽었습니다.

 

 

일단 저자가 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하셨던 분입니다.

그래서 언론에 대해 아주 잘 알고 있으신 듯 했습니다.

경제 기사가 어떻게 나오는지, 무슨 문제가 있는지, 왜 그래야만 하는지의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기사를 무조건 믿기보다는 어느 언론사에서 나온 기사인지를 보고

다른 언론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가 무심코 기사를 읽고 넘겼던 아래의 의문에 잘 답변을 해주고 있습니다.

-외국과 비교해 비싼 휴대폰 통신비 요금은 왜 언론에서 나오지 않았었는지?

-삼성이 왜 국민 기업인지?

-만능 청약 통장은 만능인지?

 

무조건 언론을 비판 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론이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잘 설명되어 있어서

언론에 대해 바른 이해를 할 수 있게 해준 좋은 책입니다.

반응형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0) 2012.04.07
[책 리뷰]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0) 2012.03.02
[마흔에 읽는 손자병법]  (0) 2012.01.30
[딜리버링 해피니스]  (0) 2012.01.08
[오륜서]  (0) 2012.01.08
[아이리더십]  (0) 2011.11.06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0) 2011.10.27
[아침형인간]  (0) 2011.09.27
[인사이드 안드로이드]  (0) 2011.09.04
[스티브 잡스 이야기]  (0) 2011.09.04
반응형

굿데이카드가 내년 4/1 부터 변경사항이 있어서 아래 내용 업데이트 합니다.
현재까지 20만원 사용하고 주유/통신/대중교통 요금을 할인 받았는데요, 바뀐 후에도 계속 써야 할지 고민이네요.

2012년 4월 1일 이용분(3월 결제회수실적 기준)부터 변경내용이 적용됩니다.

1구간(주유/통신/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에 대한 직전월 결제회수실적기준이 20만원 이상에서 30만원
   이상
으로 변경됩니다.
변경전 변경후
직전월 결제회수금액 제공서비스 직전월 결제회수금액 제공서비스
20만원이상 60만원미만 1구간(주유/통신/대중교통) 30만원이상 60만원미만 1구간(주유/통신/대중교통)
 


*********************************************************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통신비 부담은 늘어만 가는데…

여기 저기 알아보고 통신, 교통비의 할인을 많이 해주고 캐시백(Cashbag)까지 해주는 KB 굿데이 카드를 발견했습니다.

 

  • KB 굿데이 카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IT에 종사하는 얼리어댑터 성향을 지닌 현대인들에게

20만원만 사용하면 주유,통신,대중교통을 할인 받을 수 있는 굳데이 카드가 최선의 선택일 듯 싶다.

 

 

 

▶ 연회비는 국내전용 3천원으로 해결

 

 

 

반응형
반응형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타이머를 맞추고 열심히 뛰어서 자세 잡는다고 힘들었던 경험 있으시죠?

 

이제는 리모콘을 이용해서 여유롭고 떨림 없는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과 함께

범용리모콘인 Twin1R3-UT 개봉기 소개합니다.

 

Twin1R3-UT

-캐논 400d,350d,니콘 d40,d50,펜탁스,삼성 외 다수지원합니다. 저는 500D 사용하는데 테스트 해보니 잘되네요.

 

▶포장은 아주 소박하네요.

 

▶구성품 : 리모컨, 배터리, 배터리 커버, 설명서, 유선줄, 핸드스트랩

 

▶리모컨의 뒷모습 : 범용모드(UT), 전용모드, 플래쉬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스위치가 있네요.

 

▶플래쉬를 켠 모습

 

Twin1R3-UT Test 후기 (테스트 DSLR 카메라 : 500D)

버튼에 반 셔터 기능을 제공하고, 야간촬영을 위해 버튼을 누르고 고정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측면의 버튼을 이용하여 2초 후에 찍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플래쉬는 그렇게 밝은 편이 아니라서 그렇게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네요.

 

- 무선 리모콘 : 집에서 테스트 하는 관계로 10m정도에서 테스트 해봤는데, 아주 잘되네요 ^^

UT 모드에 놓고 사용하여야 동작하네요.

 

-유선 리모콘 : 설명서를 보니 유선으로 사용할 때는 리모콘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유선도 아주 만족 스럽습니다.

 

-구입가격 : 택배비 포함해서 약 2만원에 구매했네요. ^^

 

 

반응형

'카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서위브하늘채에서 바라본 야경]  (0) 2012.05.01
[2천30만화소 미러리스 카메라]  (2) 2011.09.29
[캐논 CA모드]  (0) 2011.09.16
[삼식이 핀 테스트]  (0) 2011.09.15
[캐논 카메라 raw파일 교정]  (0) 2011.09.14
반응형

안드로이드에서 가장 부러웠던 것이 Pattern을 인식하는 Lock이었습니다.

 

매번 숫자를 눌러서 Lock을 풀기에는 번거롭고, 암호를 없애자니 개인 사생활이 노출되는 것이 싫었습니다.

Cydia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Android에서 사용하는 패턴락 App이 있더군요.

 

 

1. Cydia에서 AndroidLock XT를 찾아서 설치합니다.

2. 설치를 하고 나면 Settings에 AndroidLock XT의 셋팅을 할 수 있는 메뉴가 생기며,

여기에서 원하는 패턴과 테마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W개발 하거나 광범위한 소스를 분석하기 좋은 Tool로 소스인사이트를 사용합니다.

 

소스 인사이트에서 Macro를 이용하여 주석을 편하게 달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Block으로 편하게 주석달기

Block으로 편하게 주석을 다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Ex)

// Gongdoo's New Code START [

printf("Hello, World! \n");

return 0;

// Gongdoo's New Code END ]

 

1. Source Insight에서는 기본적으로 Base라는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Base Project를 Open 합니다.

 

2.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macro가 이미 작성되어 있을 것입니다.

 

2. 파일의 제일 아래에 내가 원하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저장을 합니다.

일단은 매크로 작성은 완료되었습니다. 저장을 하고 Project를 Close합니다.

 

3. 이제 본인이 사용하는 Project를 열고, Key를 할당할 차례입니다.

Options->Key Assignments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Macro에 위에서 추가한 BlockDoc이 있습니다.

여기에 자기가 원하는 Key를 할당을 합니다. 저는 Ctrl+Shift+9을 할당 했습니다.

 

 

4. 블록 주석을 넣기 원하는 부분을 Drag해서 선택한 다음, Ctrl+Shift+9 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Block 주석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SW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SQLite Client Tool  (2) 2011.09.16
[안드로이드 로그 보는 툴]  (0) 2011.09.02
[VI 명령어]  (0) 2011.08.29
[UML Class Diagram]  (0) 2011.08.26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0) 2011.08.26
Clear Case 를 Source Insight와 Beyond Compare와 연동하기  (0) 2011.04.26
강력한 무료 압축 프로그램 7zip  (0) 2011.04.26
Trace32. Image view  (0) 2011.04.26
Trace32. Spot Break and Log  (0) 2011.04.26
카메라 개발 용어  (0) 2011.04.26
반응형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쉽게 바꾸는 프로그램을 소개 합니다.

ezRenamer 화면

 

▶특징

- 물론 무료입니다.

- 무설치 프로그램으로써 무척 가볍습니다.

- 파일이름을 Text Editor에서 Text를 수정하듯이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일괄적으로 파일명의 부분을 바꿀 수 있습니다.

- 일괄적으로 파일명의 머리말을 바꿀 수 있습니다.

 

▶간단한 사용법

  1. 왼쪽창을 이용하여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선택
  2. 오른쪽 화면에서 문서 편집하듯이 마음대로 편집 또는, Ctrl+C, Ctrl+V등을 이용, 다른 에디터에서 카피, 수정후 다시 불러옵니다.
  3. 동일한 이름을 한꺼번에 바꿀경우는 "입시바꾸기"버튼 이용
  4. 마지막으로 "이름바꾸기"버튼을 누르면 파일이름이 바뀝니다.
  5. "처음에 넣기"는 파일이름 처음에 공통으로 모두 같은 내용이 들어갑니다.
  6. "확장자바꾸기"는 파일이름의 확장자를 모두 바꿔줍니다.
  7. "되돌리기"는 이전의 파일내용들을 순차적으로 되돌립니다.
  8. "Enter"키는 "이름바꾸기" 또는 "처음에 넣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예전에는 화면을 캡쳐 하는 프로그램 중 캡순이를 사용했는데,

요즘에는 컴퓨터 포맷 이 후 처음으로 까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Open Capture를 깔게 됩니다.

 

Open Capture는 무료이면서 간단하고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Download : 최신버전

http://opencapture.net/?m=d&l=ko

 

Download : 광고 없고 무료인 구버전

opencapture_v114.zip



깔끔한 디자인과 함께, 설치도 필요 없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